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0. 3. 30. 16:01

[CentOS] X-Window 접속하기 Linux/Cent OS2010. 3. 30. 16:01

리눅스 서버의 사용시 거의 X-Window 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가상화라던지 기타 GUI가 필요한 프로그램의 사용시는 X-Window 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럴때 사용하는 프리웨어로 Free nx 라는 접속 프로그램이 있다.

일단은 리눅스 서버에 설치를 하여야 한다.
yum 사용하여 설치 하기로 한다.
다음 명령어 한 줄이면 설치 끝이다. 얼마나 훌륭한가... 항상 yum 에 감사하고 있다.
나같은 사람도 서버를 만질수 있게 해주었으므로...
[root@sestory ~]# yum -y install freenx

이제는 설치한 freenx 설정을 할 차례이다.
기본 제공하는 샘플 파일을 카피하여 설정 파일로 사용한다.
[root@sestory ~]# cp /etc/nxserver/node.conf.sample /etc/nxserver/node.conf

그리고 설정 파일을 열어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root@sestory ~]# vi /etc/nxserver/node.conf
 

# 리눅스 서버의 SSHD 포트를 22 외의 다른 번호(8080과 같이) 변경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SSHD_PORT=8080

# 인증 관련 설정입니다. 원래는 "0"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1"로 변경합니다.
ENABLE_PASSDB_AUTHENTICATION="1"

# 로그 관련 설정입니다.
NX_LOG_LEVEL=6
NX_LOGFILE=/var/log/nxserver.log


환경 설정 후 사용자 등록을 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등록은 실제 시스템에 등록 되어 있는 계정을 사용하여야 한다.
물론 등록만 하면 root 계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안상 사용하지 않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 

[root@sestory ~]# nxserver --adduser [사용자ID]
[root@sestory ~]# nxserver --passwd [사용자ID]

사용할 준비를 다 하였으니 이제 서비스로 freenx  구동 합니다.

[root@sestory ~]# service freenx-server start / stop / status

물로 서비스 명령으로 정지, 시작, 상태를 볼수 있다.

이제 클라이언트를 설치 하여야 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http://www.nomachine.com/  제공 받을 수 있다.
난 윈도우를 쓰니 윈도우용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였다.
설치 완료 후 NX Connection Wizard 를 실행 합니다.



실행 후 위자드 값을 입력한다.
입력 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Session : 다른 접속 정보와 구별 가능한 적당한 구분자를 넣어 주면 된다.
Host : 접속할 시스템의 IP를 적어 주면 된다.
그리고  NEXT 클릭

접속할 시스템 타입은 Unix, X-Window 관련 GUI Desktop 은 Gnome
그리고 화면 사이즈를 절정하고 Enable SSL encryption of all traffic 체크를 한 후 NEXT
다음 화면에서는 Show the Advance Configuration dialg 체크 하면 확장 창이 팝업 된다.
확장 창에서 Key 버튼을 클릭 한 후
공개키를 입력 한다. 그런데 공개키는 어디서 가져 오느냐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서버에서 가져와야 한다. 공개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서버의 공개키는 /etc/nxserver/client.id_dsa.key 들어있습니다.
공개키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 Import 후 저정 한다.
그리고 서버접속 창에서 필요 정보를 넣어 주고 접속을 하면 된다.
아... X-Window 원격에서 쓰기 많이  쉬어 졌다...

물론 여기에 있는 설정은 모두다 CentOS 기준이다.

:
Posted by Se Story
2010. 3. 26. 15:09

[CentOS] 시디롬 제어 명령 Linux/Cent OS2010. 3. 26. 15:09



CD-ROM 관련 명령어

eject 명령을 사용하여 시디롬을 꺼내는 명령은 자주 사용한다.

꺼내고 나서 닫을 때는 ㅡㅡ... 잘 몰랐는데

서핑을 하다보니 이런 옵션을 사용해서 닫는걸 알았다.

eject -t
:
Posted by Se Story
2010. 3. 25. 11:39

[NetWork] Cisco 4507 샷시 정보 및 라인카드 NetWork2010. 3. 25. 11:39


4507 샷시 정보

4500 샤시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Classic 샤시와 E 샤시.
Classic 샤시는 슬롯당 백플레인이 6G, E 샤시는 24G 입니다.
라인카드도 위와 같이 Classic / E-series 가 있습니다.
4448 경우 Classic 에 해당 되며 6G를 지원합니다.
E 샤시에 4448을 꼽아도 백플레인이 6G로 붙게 되겠죠.
4448은 6개의 포트 그룹으로 구성되어 1개의 포트그룹은 8개의 포트로 구성됩니다.
하나의 포트그룹이 1G를 쉐어합니다.
:
Posted by Se Story


금일 YUM 을 통하여 oVirt 설치하다 문제가 생겨 뒤적거려본것을 적는다.

YUM 옵션이다.
명령어 실행시 다음과 같이 옵션을 주었을 경우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yum install  --enablerepo=rawhide
  인스톨 할시 패키지를 설치 할때 해당 OS 버전의 YUM 미러사이트의 제공의 
  패키징 버전이 아닌 상위 버전이지만... 안정화 버전이 아닌 테스트 버전을 설치 하겠단 이야기다.
  각각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enablerepo -> 여기저기 뒤져보니 기본버전이 아닌 다른 버전등의 설치가 필요할때 사용하는 옵션인듯 싶다.

  rawhide 아래 같은 설명이 있다.
  레드햇의 불안정한 패키지들의 모임인 Rawhide(여기서 여러 번 테스트하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가 된 패키지들은 정식으로 올라가며, 해당 버전의 업데이트 패키지가 된다.
  또한 이 Rawhide 전체가 안정화되면 레드햇은 하나의 버전이 올라가게 된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커널 2.4.2의 릴리즈 넘버가 소수점단위로 올라가며 수많은 테스트를 해왔고,
  또한 소스 RPM을 보면 많은 패치가 있는 것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레드헷 측의 설명이다. 즉 다시 말하면 정식이전의 테스트 베드의 RPM 패키지들을 설치 하는 옵션인것이다.

enablerepo 옵션을 사용하면 미러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본 버전보다 보다 높은 버전의 패키지를 설치 할수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root@sestory ~]# yum install mysql --enablerepo=centosplus mysql 기본버전 말고 상위 버전 인스톨


:
Posted by Se Story
2010. 3. 24. 10:29

[Se Story] 다음에서 네이버 검색하기... SE Story2010. 3. 24. 10:29

오늘 출근길에 트윗질을하다 새로운 검색방법을 알게되었다.
저번 뉴스 사태이후 네이버쪽은 왠만하면 가지 않고 다음만을 기본설정으로 사용하는데
검색은 구글 다음 네이버 순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다음에서 구글로 다음에서 네이버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겼다.
이젠 옮겨다니기 안녕이다. ^^

다음 검색창에서 

검색어/네이버 또는 검색어/구글 하면 상대 포털을 검색하여 해당
포털 검색 결과페이지를 열어준다. 

아 햄볶아요 ㅎㅎㅎ 

:
Posted by Se Story
2010. 3. 24. 09:38

[NetWork] Redundancy 상태 확인 명령 NetWork2010. 3. 24. 09:38


리던던시 상태 확인
Local_C4507_1#show redundancy

Redundant System Information :
------------------------------
       Available system uptime = 12 hours, 30 minutes
Switchovers system experienced = 1
              Standby failures = 0
        Last switchover reason = user forced

                 Hardware Mode = Duplex
    Configured Redundancy Mode = Stateful Switchover
     Operating Redundancy Mode = Non Redundant
              Maintenance Mode = Disabled
                Communications = Down      Reason: Simplex mode

Current Processor Information :
-------------------------------
               Active Location = slot 2
        Current Software state = ACTIVE
       Uptime in current state = 12 hours, 30 minutes
                 Image Version = Cisco IOS Software, Catalyst 4000 L3 Switch Software (cat4000-I9S-M), Version 12.2(25)EWA6, RELEASE SOFTWARE (fc1)
Technical Support: http://www.cisco.com/techsupport
Copyright (c) 1986-2006 by Cisco Systems, Inc.
Compiled Fri 02-Jun-06 15:20 by ssearch
                          BOOT =
        Configuration register = 0x2102

Peer (slot: 1)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because it is in 'DISABLED' state

:
Posted by Se Story

슈퍼바이져 모듈 액티브 스텐바이 바꾸는 명령어
Local_C4507_1#redundancy force-switchover

모듈 상태 확인(Redundancy status 가 아닌 핫 스테이터스가 되어야 한다)

Local_C4507_1#show module

Chassis Type : WS-C4507R

Power consumed by backplane : 40 Watts

Mod Ports Card Type                              Model              Serial No.
---+-----+--------------------------------------+------------------+-----------
 1        Supervisor
 2     2  Supervisor II+ 1000BaseX (GBIC)        WS-X4013+          JAE1134URZL
 3    48  10/100/1000BaseT (RJ45)                WS-X4448-GB-RJ45   JAE1134US7O

 M MAC addresses                    Hw  Fw           Sw               Status
--+--------------------------------+---+------------+----------------+---------
 1 Unknown                              Unknown      Unknown          Other
 2 001d.4554.b982 to 001d.4554.b983 4.3 12.2(20r)EW1 12.2(25)EWA6     Ok      
 3 001d.4510.dfd0 to 001d.4510.dfff 1.4                               Ok      

Mod  Redundancy role     Redundancy mode     Redundancy status
----+-------------------+-------------------+-------------------
 1   Standby Supervisor  Non redundant       Disabled          
 2   Active Supervisor   Non redundant       Active 

:
Posted by Se Story
2010. 3. 22. 11:04

[NetWork] HSRP 상태 확인 NetWork2010. 3. 22. 11:04


HSRP 상태 확인

D-C4507-1#sh standby brief
                     P indicates configured to preempt.
                     |
Interface   Grp Prio P State    Active          Standby         Virtual IP
Vl10        10  100  P Active   local           121.254.146.72  121.254.146.1

Active / Standby   상태 값을 보면 어느 스위치가  Active  인지 확인 할수 있다.

:
Posted by Se Story
MOUNT 사용하기 디렉토리 마운트
 
FreeBSD 디렉토리 마운트 하기
 
linux의 유용한 mount 옵션인 --bind를 FreeBSD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bind옵션에 대해 잘모르시는 분을 위해 부연설명을 하자면
임의의 디렉토리를 link가 아닌 file system으로 마운트 하는 옵션이다.

특히 유용한곳은 proftpd같은 ftp데몬들의 chroot옵션을 줬을 경우
ln만으로는 다른곳의 디렉토리를 엑세스 할 수가 없으므로
bind옵션을 쓰는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것이다...

이번의 경우는 로그 저장 파티션이 너무 작아서 로그 파일의
별도 파티션 저장을 위해 사용한다.
제길... 먼저 형상을 정의 한 사람을 정말 존경스러워 해야겠다.
이런 걸 알게 해준 감사한 분이시란  ㅡ.ㅡ^

FreeBSD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4.x - mount_null

5.x - mount_nullfs
 
 
소프트 링크가 아닌 디렉토리 마운트로 사용한 이유는.
소프트 링크는 깨지면 로그가 쌓이지 않지만
디렉토리를 볼륨을 마운트하였다 마운트가 풀리게 되면
마운트 포인트인 디렉토리가 속한 파티션의 빈공간에 로그를
저장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디스크 볼륨 파티션을 마운트 하였다. 

/usr/service/logs/ 디렉토리를 /log  디렉토리로

리부팅 시에도 마운트 되게 /etc/rc.conf 파일에도 등록 하여 테스트완료 하여 적용되었다.

 

등록 내용입니다.

#log mount

mount_nullfs /log/ /usr/service/logs

 
 
:
Posted by Se Story
2010. 3. 8. 23:07

[iPhone]아이폰 음성녹음 기능사용기 iPhone2010. 3. 8. 23:07

강의를 들으로 다니는데 머리가 나뻐서 강사가 하는 말을 다 기억을 못하는 관계로 음성녹음 기능이 필요했다.
그래서 사용하게 된 아이폰 음성녹음 기능이다.

추가로 강의 녹음시 아이폰은 에어플레인 모드로 두는게 좋다.
이유는 녹음중 전화가 온다면 녹음이 끊어지게된다. ㅜ.ㅜ

강의 음성을 녹음하고 나서 파일저장 된것을 아이튠즈를 사용하여 PC로 옮겼다.

흠... mp3 파일이 나에겐 필요한데 옮기고 보니 파일이 m4a 파일이다.
웹서핑을 하니 이런 글을 보았다.

스위치 사운드 파일 컨버터 라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다.
물론 난 공짜 아니면 안쓴다. ㅡㅡ^

다운로드

다운로드 후 설치를 완료 된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 한다.
실행 시키면 다음 과 같은 화면이 된다.

Add File 이나 Add Folder 를 이용하여 파일을 추가한후 Output folder 및 Ouput Format 을 설정 후
컨버팅을 꾸욱 누른고 기다리면 된다.


:
Posted by Se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