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3. 30. 16:01
[CentOS] X-Window 접속하기 Linux/Cent OS2010. 3. 30. 16:01
리눅스 서버의 사용시 거의 X-Window 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가상화라던지 기타 GUI가 필요한 프로그램의 사용시는 X-Window 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럴때 사용하는 프리웨어로 Free nx 라는 접속 프로그램이 있다.
일단은 리눅스 서버에 설치를 하여야 한다.
yum 사용하여 설치 하기로 한다.
다음 명령어 한 줄이면 설치 끝이다. 얼마나 훌륭한가... 항상 yum 에 감사하고 있다.
나같은 사람도 서버를 만질수 있게 해주었으므로...
[root@sestory ~]# yum -y install freenx
이제는 설치한 freenx 설정을 할 차례이다.
기본 제공하는 샘플 파일을 카피하여 설정 파일로 사용한다.
[root@sestory ~]# cp /etc/nxserver/node.conf.sample /etc/nxserver/node.conf
그리고 설정 파일을 열어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root@sestory ~]# vi /etc/nxserver/node.conf # 리눅스 서버의 SSHD 포트를 22 외의 다른 번호(8080과 같이) 변경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SSHD_PORT=8080 # 인증 관련 설정입니다. 원래는 "0"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1"로 변경합니다. # 로그 관련 설정입니다. |
환경 설정 후 사용자 등록을 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등록은 실제 시스템에 등록 되어 있는 계정을 사용하여야 한다.
물론 등록만 하면 root 계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안상 사용하지 않는게 정신 건강에 좋다.
[root@sestory ~]# nxserver --adduser [사용자ID] [root@sestory ~]# nxserver --passwd [사용자ID] |
사용할 준비를 다 하였으니 이제 서비스로 freenx 구동 합니다.
[root@sestory ~]# service freenx-server start / stop / status
물로 서비스 명령으로 정지, 시작, 상태를 볼수 있다.
이제 클라이언트를 설치 하여야 한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http://www.nomachine.com/ 제공 받을 수 있다.
난 윈도우를 쓰니 윈도우용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였다.
설치 완료 후 NX Connection Wizard 를 실행 합니다.
실행 후 위자드 값을 입력한다.
입력 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Session : 다른 접속 정보와 구별 가능한 적당한 구분자를 넣어 주면 된다.
Host : 접속할 시스템의 IP를 적어 주면 된다.
그리고 NEXT 클릭
접속할 시스템 타입은 Unix, X-Window 관련 GUI Desktop 은 Gnome
그리고 화면 사이즈를 절정하고 Enable SSL encryption of all traffic 체크를 한 후 NEXT
다음 화면에서는 Show the Advance Configuration dialg 체크 하면 확장 창이 팝업 된다.
확장 창에서 Key 버튼을 클릭 한 후
공개키를 입력 한다. 그런데 공개키는 어디서 가져 오느냐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서버에서 가져와야 한다. 공개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서버의 공개키는 /etc/nxserver/client.id_dsa.key 들어있습니다.
공개키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 Import 후 저정 한다.
그리고 서버접속 창에서 필요 정보를 넣어 주고 접속을 하면 된다.
아... X-Window 원격에서 쓰기 많이 쉬어 졌다...
물론 여기에 있는 설정은 모두다 CentOS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