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Haproxy 설치
Se Story
2010. 6. 28. 15:44
간단한 로드 밸런싱과 웹의 안전성을 위해 프록시 소프트 웨어를 뒤적거리다 눈에 걸린 녀석이다.
이녀석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는 구글링을 하거나 아니면 Haproxy 사이트에서 확인 하면 된다.
사이트 주소 : http://haproxy.1wt.eu/
현재까지 릴리즈 된 버전 중 최신 버전을 사용한다. 최신버전은 haproxy-1.4.8.tar.gz 이다.
최신 파일을 내려 받아 README 또는 홈페이지의 설치 문서를 읽어보고 설치를 하면된다.
그럼 설치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라고 홈페이지 처럼 이야기 하고 싶지만 2개 방법을 사용해봤지만
관리나 설치의 편리성이 있는 RPM 버전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하나 아래에는 두가지 방법 모두 적어 놓아야겠다. 혹시 몰라서...
방법#1
Proxy1# wget http://haproxy.1wt.eu/download/1.4/src/haproxy-1.4.8.tar.gz
Proxy1# tar xfz haproxy-1.4.8.tar.gz
Proxy1# cd haproxy-1.4.8
Proxy1# make TARGET=linux26 ARCH=x86_64
Proxy1# make install
구동명령은 다음과 같다.
Proxy1# /etc/rc.d/init.d/haproxy -f /etc/haproxy/haproxy.cfg
하면 설치가 완료 된다.
더 쉬운 설치는 RPM 설치이다.
방법#2
Proxy1# wget http://haproxy.1wt.eu/download/1.4/src/haproxy-1.4.8.tar.gz
Proxy1# rpmbuild -ta haproxy-1.4.8.tar.gz
생성된 RPM 위치로 이동 후 설치
Proxy1# rpm -Uvh haproxy-1.4.8-1.x86_64.rpm
구동명령은 다음과 같다.
Proxy1# service haproxy restart
Haproxy 사용한 환경 설정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global
log 127.0.0.1 local0
maxconn 4096
chroot /etc/haproxy
uid 99
gid 99
daemon
nbproc 1
defaults
log 127.0.0.1 local3
mode http
option httplog
option httpclose
option dontlognull
option forwardfor
option redispatch
retries 2
maxconn 2000
balance source
stats uri /haproxy-stats
contimeout 5000
clitimeout 50000
srvtimeout 50000
log 127.0.0.1 local3
mode http
option httplog
option httpclose
option dontlognull
option forwardfor
option redispatch
retries 2
maxconn 2000
balance source
stats uri /haproxy-stats
contimeout 5000
clitimeout 50000
srvtimeout 50000
listen web_proxy 0.0.0.0:80
option httpchk
server web1 192.168.25.101:80 weight 30 check
server web1 192.168.25.102:80 weight 30 check
server web2 192.168.25.103:80 weight 30 check
설정 파일에 추가적으로 들어갈수 있는 옵션은 간략히 하면 다음과 같다.
stat uri <- 모니터링 및 관리 페이지 주소 설정
balance <- 밸런싱 방법
chroot <- 환경 설정 파일의 위치 디렉토리단위
이상 간략히 정리한 Haproxy 설치.
아 앞으로도 갈길이 멀구나...
왜 갈길이 머냐구?
쉘 스크립트로 환경 설정파일을 떨구는 부분을 구현해야한다.
mysql DB에서 서버의 IP 값을 가져와서 떨구게 해야한다.
그리고 Haproxy 서비스의 재기동 까지.
아...
server web1 192.168.25.102:80 weight 30 check
server web2 192.168.25.103:80 weight 30 check
설정 파일에 추가적으로 들어갈수 있는 옵션은 간략히 하면 다음과 같다.
stat uri <- 모니터링 및 관리 페이지 주소 설정
balance <- 밸런싱 방법
chroot <- 환경 설정 파일의 위치 디렉토리단위
이상 간략히 정리한 Haproxy 설치.
아 앞으로도 갈길이 멀구나...
왜 갈길이 머냐구?
쉘 스크립트로 환경 설정파일을 떨구는 부분을 구현해야한다.
mysql DB에서 서버의 IP 값을 가져와서 떨구게 해야한다.
그리고 Haproxy 서비스의 재기동 까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