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FreeBSD
[FreeBSD] 디렉토리에 디스크 볼륨 마운트 하기
Se Story
2010. 3. 13. 14:56
MOUNT 사용하기 디렉토리 마운트
FreeBSD 디렉토리 마운트 하기
linux의 유용한 mount 옵션인 --bind를 FreeBSD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bind옵션에 대해 잘모르시는 분을 위해 부연설명을 하자면
임의의 디렉토리를 link가 아닌 file system으로 마운트 하는 옵션이다.
특히 유용한곳은 proftpd같은 ftp데몬들의 chroot옵션을 줬을 경우
ln만으로는 다른곳의 디렉토리를 엑세스 할 수가 없으므로
bind옵션을 쓰는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것이다...
이번의 경우는 로그 저장 파티션이 너무 작아서 로그 파일의
별도 파티션 저장을 위해 사용한다.
제길... 먼저 형상을 정의 한 사람을 정말 존경스러워 해야겠다.
이런 걸 알게 해준 감사한 분이시란 ㅡ.ㅡ^
FreeBSD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4.x - mount_null
5.x - mount_nullfs
엄밀하게 말하면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bind옵션에 대해 잘모르시는 분을 위해 부연설명을 하자면
임의의 디렉토리를 link가 아닌 file system으로 마운트 하는 옵션이다.
특히 유용한곳은 proftpd같은 ftp데몬들의 chroot옵션을 줬을 경우
ln만으로는 다른곳의 디렉토리를 엑세스 할 수가 없으므로
bind옵션을 쓰는 경우에 유용하게 쓰일것이다...
이번의 경우는 로그 저장 파티션이 너무 작아서 로그 파일의
별도 파티션 저장을 위해 사용한다.
제길... 먼저 형상을 정의 한 사람을 정말 존경스러워 해야겠다.
이런 걸 알게 해준 감사한 분이시란 ㅡ.ㅡ^
FreeBSD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4.x - mount_null
5.x - mount_nullfs
소프트 링크가 아닌 디렉토리 마운트로 사용한 이유는.
소프트 링크는 깨지면 로그가 쌓이지 않지만
디렉토리를 볼륨을 마운트하였다 마운트가 풀리게 되면
마운트 포인트인 디렉토리가 속한 파티션의 빈공간에 로그를
저장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디스크 볼륨 파티션을 마운트 하였다.
소프트 링크는 깨지면 로그가 쌓이지 않지만
디렉토리를 볼륨을 마운트하였다 마운트가 풀리게 되면
마운트 포인트인 디렉토리가 속한 파티션의 빈공간에 로그를
저장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디스크 볼륨 파티션을 마운트 하였다.
/usr/service/logs/ 디렉토리를 /log 디렉토리로
리부팅 시에도 마운트 되게 /etc/rc.conf 파일에도 등록 하여 테스트완료 하여 적용되었다.
등록 내용입니다.
#log mount
mount_nullfs /log/ /usr/service/logs